정부의 무역정책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신남방정책’의 핵심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베트남에서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기계산업전문전시회가 한국을 비롯한 베트남과 중국, 인도 등 7개 국가의 200여 개 기업인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이하 기진회)와 코엑스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코트라가 후원한 가운데 린 ‘2018 베트남 국제기계산업대전(VIMAF 2018)'은 전시기간 동안 1만 5천여명의 바이어가 전시장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국내에서는 단독으로 현지에서 취재를 진행한 본보는 전시회 현장에서 공동주최측인 기진회와 코엑스, 후원기관인 코트라의 관계자를 만나 이번 전시회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들어봤다.
기진회 “처음으로 직접 해외에 나와서 진행하는 전시회”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김용국 상무이사
기진회의 김용국 상무이사는 이번 전시회에 대해 “기진회가 해외에 보내는 한국관 사업 중 처음으로 직접 나와서 주최하는 전시회”라고 강조하면서 “베트남이 한국과의 우호적인관계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진회는 지금까지 전세계 12개 국에서 개최되는 유망전시회에 한국관을 추진해 왔다. 대표적으로 하노버산업박람회와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열리는 산업전시회를 들 수 있으며, 향후 정부의 신남방‧신북방정책의 핵심 국가인 베트남과 러시아 등 유망국가에서 한국관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을 갖고 있다.
베트남 시장의 가능성에 대해 김 상무이사는 “베트남은 연평균 6% 이상의 경제성장률 달성하는 신남방정책의 핵심국가이자 아세안핵심국가”라고 언급한 뒤 “앞으로도 이러한 경제성장률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경제성장과정에서 한국산 기계류와 장비‧설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코엑스 “‘안되는 것이 없는 나라’로 베트남이 기억되길”
코엑스 신지항 베트남 대표 사무소장
코엑스의 신지항 베트남 대표 사무소장은 “코엑스가 2009년 베트남에 진출한 이래 다섯 개의 전시회를 진행했지만 기계분야 전시회는 처음이었기 때문에 바이어 유치에 대한 광고와 홍보 마케팅에 가장 신경을 많이 썼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지난 3월 문재인 대통령이 베트남을 국빈 방문하는 과정에서 양국의 산업부 장관앞에서 베트남 기계협회와 한국기진회가 MOU를 체결하면서 기진회와 코엑스가 VIMAF를 호치민 산업국과 호치민 기계협회가 VISF를 공동개최하게 됐다. 이에 베트남 산업국차원에서 바이어와 산업공단‧해외투자기업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가 이뤄졌다.
신 사무소장은 “주최자이기 때문에 많은 상담과 계약이 이뤄지는 것은 기본이고 양국의 기계산업분야 협력에 대한 다리역할을 했으면 한다”며, “이를 위해 사이공 하이테크 파크와 기진회, 코엑스의 3자 MOU체결해 베트남 진출하려는 한국기업을 돕고 베트남 기업과 한국기업의 기술이전 등을 실질적인 도움을 주려고 한다”고 밝혔다.
덧붙여 그는 “현재 4천~5천 개의 한국기업이 베트남에 진출해 있는데, 조급해 하지 말고 시간을 충분히 들여서 코트라나 무역협회, 중소기업진흥공단을 통해 바이어들을 검증하고 사전조사를 거쳐 진출하면 베트남에서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잇을 것”이라며, “‘베트남은 되는 것도 없고 안되는 것도 없는 나라’라는 말을 많이 듣는데, 참가하는 분들이 ‘안되는 것이 없는 나라’로 베트남을 기억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코트라 “중장기적 안목으로 베트남 시장 진출해야”
코트라 호치민 무역관 김혜리 과장
코트라 호치민 무역관의 김혜리 과장은 ‘중장기적 안목으로 베트남 시장을 바라볼 것’을 참가 기업에게 주문했다.
“베트남의 GDP수준은 한국의 1980년대 수준이며, 기계산업의 수준은 이 보다 낮다”고 말한 김 과장은 “올해 11월까지 기계부품설비의 수입액은 28% 증가한 151억 달러 가량”이라고 언급했다.
현재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대부분은 삼성이나 LG 등 진출하면서 1~2차 벤더사가 함께 현지에 진출한 것이기 때문에 기계에 대한 수요도 상당 부분 한국 기업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현지 생산기반 구축을 위해 기계부품산업에 대한 육성을 강화하면서 점점 고품질의 기계나 부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것은 한국 기업에게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김 과장의 전망이다.
김 과장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베트남 현지 기업을 납품 대상으로 봐야 한다”고 말한 뒤 “베트남 현지에서는 유럽이나 일본 기계에 대한 신뢰도와 높고 협력관계도 긴밀하게 형성돼 있기 때문에 이 시장을 차지하기 우해서는 현지 바이어와 신뢰를 쌓고 파트너십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AS지원이나 현지 마케팅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가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는 만큼 한국 기업의 중장기적 안목에 전제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김 과장은 재차 강조했다.
김 과장은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는 한국 기업에게 잠재적 바이어리스트를 제공하고, 전시회 개최 전날에는 한-베 기계부품협력세미나 개최하고 현지 타겟 바이어 100명 초청해 앞으로의 협력을 당부하는 동시에 한국 기계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애썼다”고 말한 뒤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베트남 진출부터 법인‧공장설립까지 전 과정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다”고 부언했다.
화섬용 투포원 연사기 (TWO FOR ONE TWISTER FOR SYNTHETIC YARN -DWTO-5N,1.5KG)
1.TAKE UP WEIGHT 1.5KG
2.Precise spindle speed
3.Convenient workability
4.Touch screen type controller
Taper Grid Coupling
Taper Grid Coupling is shaft to shaft couplings which is of compact size, yet can handle torque capacity due to high strength hardened alloy steel construction.
GD-4015S / GD-2010S / GD-6030S
* 초고속 플레이트 드릴링머신
-. 고출력 스핀들모터로 초경 50파이까지 드릴링
-. Z축 서보모터 제어로 안정적인 드릴작업 가능
정부의 무역정책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신남방정책’의 핵심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베트남에서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기계산업전문전시회가 한국을 비롯한 베트남과 중국, 인도 등 7개 국가의 200여 개 기업인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이하 기진회)와 코엑스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코트라가 후원한 가운데 린 ‘2018 베트남 국제기계산업대전(VIMAF 2018)'은 전시기간 동안 1만 5천여명의 바이어가 전시장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국내에서는 단독으로 현지에서 취재를 진행한 본보는 전시회 현장에서 공동주최측인 기진회와 코엑스, 후원기관인 코트라의 관계자를 만나 이번 전시회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들어봤다.
기진회 “처음으로 직접 해외에 나와서 진행하는 전시회”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김용국 상무이사
기진회의 김용국 상무이사는 이번 전시회에 대해 “기진회가 해외에 보내는 한국관 사업 중 처음으로 직접 나와서 주최하는 전시회”라고 강조하면서 “베트남이 한국과의 우호적인관계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진회는 지금까지 전세계 12개 국에서 개최되는 유망전시회에 한국관을 추진해 왔다. 대표적으로 하노버산업박람회와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열리는 산업전시회를 들 수 있으며, 향후 정부의 신남방‧신북방정책의 핵심 국가인 베트남과 러시아 등 유망국가에서 한국관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을 갖고 있다.
베트남 시장의 가능성에 대해 김 상무이사는 “베트남은 연평균 6% 이상의 경제성장률 달성하는 신남방정책의 핵심국가이자 아세안핵심국가”라고 언급한 뒤 “앞으로도 이러한 경제성장률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경제성장과정에서 한국산 기계류와 장비‧설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코엑스 “‘안되는 것이 없는 나라’로 베트남이 기억되길”
코엑스 신지항 베트남 대표 사무소장
코엑스의 신지항 베트남 대표 사무소장은 “코엑스가 2009년 베트남에 진출한 이래 다섯 개의 전시회를 진행했지만 기계분야 전시회는 처음이었기 때문에 바이어 유치에 대한 광고와 홍보 마케팅에 가장 신경을 많이 썼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지난 3월 문재인 대통령이 베트남을 국빈 방문하는 과정에서 양국의 산업부 장관앞에서 베트남 기계협회와 한국기진회가 MOU를 체결하면서 기진회와 코엑스가 VIMAF를 호치민 산업국과 호치민 기계협회가 VISF를 공동개최하게 됐다. 이에 베트남 산업국차원에서 바이어와 산업공단‧해외투자기업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가 이뤄졌다.
신 사무소장은 “주최자이기 때문에 많은 상담과 계약이 이뤄지는 것은 기본이고 양국의 기계산업분야 협력에 대한 다리역할을 했으면 한다”며, “이를 위해 사이공 하이테크 파크와 기진회, 코엑스의 3자 MOU체결해 베트남 진출하려는 한국기업을 돕고 베트남 기업과 한국기업의 기술이전 등을 실질적인 도움을 주려고 한다”고 밝혔다.
덧붙여 그는 “현재 4천~5천 개의 한국기업이 베트남에 진출해 있는데, 조급해 하지 말고 시간을 충분히 들여서 코트라나 무역협회, 중소기업진흥공단을 통해 바이어들을 검증하고 사전조사를 거쳐 진출하면 베트남에서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잇을 것”이라며, “‘베트남은 되는 것도 없고 안되는 것도 없는 나라’라는 말을 많이 듣는데, 참가하는 분들이 ‘안되는 것이 없는 나라’로 베트남을 기억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코트라 “중장기적 안목으로 베트남 시장 진출해야”
코트라 호치민 무역관 김혜리 과장
코트라 호치민 무역관의 김혜리 과장은 ‘중장기적 안목으로 베트남 시장을 바라볼 것’을 참가 기업에게 주문했다.
“베트남의 GDP수준은 한국의 1980년대 수준이며, 기계산업의 수준은 이 보다 낮다”고 말한 김 과장은 “올해 11월까지 기계부품설비의 수입액은 28% 증가한 151억 달러 가량”이라고 언급했다.
현재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대부분은 삼성이나 LG 등 진출하면서 1~2차 벤더사가 함께 현지에 진출한 것이기 때문에 기계에 대한 수요도 상당 부분 한국 기업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현지 생산기반 구축을 위해 기계부품산업에 대한 육성을 강화하면서 점점 고품질의 기계나 부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것은 한국 기업에게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김 과장의 전망이다.
김 과장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베트남 현지 기업을 납품 대상으로 봐야 한다”고 말한 뒤 “베트남 현지에서는 유럽이나 일본 기계에 대한 신뢰도와 높고 협력관계도 긴밀하게 형성돼 있기 때문에 이 시장을 차지하기 우해서는 현지 바이어와 신뢰를 쌓고 파트너십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AS지원이나 현지 마케팅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가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는 만큼 한국 기업의 중장기적 안목에 전제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김 과장은 재차 강조했다.
김 과장은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는 한국 기업에게 잠재적 바이어리스트를 제공하고, 전시회 개최 전날에는 한-베 기계부품협력세미나 개최하고 현지 타겟 바이어 100명 초청해 앞으로의 협력을 당부하는 동시에 한국 기계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애썼다”고 말한 뒤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베트남 진출부터 법인‧공장설립까지 전 과정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다”고 부언했다.